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습 (feat. 코파일럿, 챗GPT)

2024. 1. 16. 10:15AI 인공지능

반응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습을 챗GPT를 무료로 사용해서 해보겠습니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책의 저자(반병현, 2023년 10월 10일 발행)가 직접 강의를 영상으로 만들어서 공개했는데요.

 

인프런(Inflearn)이라는 플랫폼에서 강의 신청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인프런에서 이 강의를 무료로 신청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유료로 변경되었네요 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강의 (출처: inflearn.com)

 

첫 영상에서 저자는 본인을 스타트업 회사의 CTO이고, 논문도 쓰고 있는 공학자라고 소개했는데요, 이 강의는 비개발자의 눈높이에서 제작했다고 하네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영상 강의의 큰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롬프트란 무엇일까요?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한 두 가지 관점
  3. 태스크 프롬프트
  4. 교육학적 기법의 활용
  5. 프롬프트 해킹
  6. 보고서 작성 실무 사례

 

이 강의를 들으시면서 직접 따라서 챗GPT를 사용하시면, 챗GPT를 고급 기능으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지난 글( 챗GPT4 무료 사용 (feat. 아숙업, 코파일럿) (tistory.com) )에서 알려드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코파일럿(Copilot)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해서, 강의 중 몇 가지를 실습해 보겠습니다.

 

1. 평문형 -> 하이퍼 파라미터형

평문형은 챗GPT에게 단순히 "영어로 번역해 줘"처럼 평문으로 요청하는 것입니다. "임무: 번역 (한국어 -> 영어) 줄 바꿔서 문장 입력" 이렇게 하이퍼 파라미터형으로 요청하면 챗GPT가 더 좋은 대답을 줄 확률이 높아집니다. 여기서 줄 바꾸기 하려고 하면, 키보드에 있는 Shift 키를 먼저 누른 상태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됩니다.

 

하이퍼 파라미터형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2. 확장 (Decoding)

확장(Decoding)이란 챗GPT에게 한 두 문장만 주고, 이것을 여러 문단으로 구성된 글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단순 확장과 답변 작성, 두 가지로 실습해 보겠습니다. 제가 영어 버전의 코파일럿(Copilot)을 사용하고 있어서 답변에도 영어가 조금 섞여서 나오네요.

 

먼저 단순 확장 실습 예시입니다.

단순 확장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다음으로 답변 작성 실습 예시입니다. 위의 단순 확장 실습 후에 바로 답변 작성 실습을 진행하면 챗GPT가 질문을 이어서 받은 것으로 생각하고 이메일 형식으로 답변을 주더라고요. 그럴 경우에는 챗GPT 기능 중에 '새로운 토픽' 버튼을 누르시고 대화가 초기화된 후 아래 질문을 하시면 됩니다.

답변 작성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3. 규칙 부여

규칙 부여란 챗GPT에게 규칙을 먼저 설명해 주고, 그다음 질문에서 이 규칙에 맞는 답변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먼저 규칙 부여 실습 예시입니다. 

규칙 부여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다음은 규칙 수행 실습 예시입니다. 간단하게 '7'이라는 숫자 하나만 입력했는데 챗GPT는 이전 대화에서의 규칙을 적용해서 답변을 해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규칙 수행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4. 독해

독해는 논리에 강한 거대언어모델(LLM)인 챗GPT가 가장 뛰어난 분야 중 하나입니다. 독해의 구체적인 사용 예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요약하기 (예시: 위 글을 요약해 줘)
  • 지문을 토대로 새로운 생각 / 질문 / 논리 도출하기 (예시: 위 지문을 토대로 향후 발전 가능성을 예측하시오) 
  • 핵심 문장 추출하기 (예시: 위 지문에서 핵심 문장 1개만 추출하시오) 
  • 지문 분석 요청 (예시: 위 지문을 분석하여 [임무]를 수행하시오)

지문을 복사해서 대화창에 붙여 넣기 한 후에 줄 바꿈을 해서 위에 있는 예시들처럼 적어주면 됩니다. 실습으로는 네 번째 기능인 지문 분석과 임무 요청을 해보겠습니다.

 

지문 분석과 임무 수행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5. 능동태와 수동태

능동태와 수동태로 각각 챗GPT에게 질문했을 때, 다른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두 가지 형태로 질문을 해보고 더 나은 답변을 사용하면 됩니다.

 

먼저 '그녀에게 꽃을 어떻게 전달할까?'라고 능동태로 물어봤을 때, 답변에서 웃는 얼굴의 이모티콘과 함께 로맨틱한 4가지 방법을 알려주네요. 챗GPT 특성상 같은 질문이라도 매번 다르게 답할 수도 있습니다^^

 

능동태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다음으로 '그녀가 나에게 꽃을 전달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수동태로 물어봤을 때, 답변에서 방법에 조금 더 집중해서 알려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꽃 배달 서비스 몇몇 업체들의 사이트를 알려주기도 하네요^^

 

수동태 프롬프트 예시 (출처: agijoe.tistory.com)

 

지금까지 직접 실습해 본 5가지 노하우 말고도 아주 유용한 기법들이 강사의 동영상 강의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마지막 강의에도 언급되었듯이 강사가 집필한 저서에는 동영상에서 보다 더 많은 팁들이 있다고 하니까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책을 찾아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반응형